본문 바로가기
2011.11.27 16:04

~든 / ~던

조회 수 1096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든 / ~던

"너는 남편이 어떤 말을 해줄 때 가장 행복하든?" "그 사람에게 그렇게 심하게 말하고 나니 시원하든?"

과거에 어떤 일을 경험한 사람에게 그 결과 새로이 알게 된 사실에 대해 물어볼 때 '-든' 꼴을 쓰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때는 '-던'을 쓰는 게 옳다. 이 '던'은 "네 동생은 별일 없더냐?"에서의 '-더냐'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더 친근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 위의 예문은 "너는 남편이 어떤 말을 해줄 때 가장 행복하던?" "그 사람에게 그렇게 심하게 말하고 나니 시원하던?"이라고 쓰는 게 바르다.

"저이가 네가 얘기했든 바로 그 사람이냐?" "남이야 책을 읽던 말던 무슨 상관이람."

위 예문의 '-든'과 '-던'도 사람들이 많이 혼동하는 것들이다. 이 경우 과거를 나타낼 때는 '-던'을 쓰고, 선택이나 나열을 나타낼 때는 '-든'을 쓰는 게 옳다. 첫째 예문은 과거에 청자(聽者)가 화자(話者)에게 그 사람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려는 것이므로 '네가 얘기했던'으로 쓰는 게 바르다. 둘째 예문은 '읽는 것'과 '마는 것' 중 선택의 의미가 있으므로 '책을 읽든 말든'으로 쓰는 게 바르다. 이때의 '-든'은 '-든지'와 의미가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04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665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91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08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935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713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866
3342 망신 風文 2023.06.09 2016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865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708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10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2006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75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26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94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674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65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722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50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58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471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16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