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4 12:53

전화 받다 / 전화받다

조회 수 1028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화 받다 / 전화받다

"부장님, 사장님 전화입니다. 전화받으세요."
"부장님 차에 휴대전화를 떨어뜨리셨더군요. 제가 가져왔습니다. 여기 전화 받으세요."

위와 같은 경우 '전화받다/전화 받다' 형태의 띄어쓰기는 어느 것이 맞을까? 정답부터 말하면 둘 다 맞다. '전화'의 의미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전화'라는 단어에는 '전화기를 이용해 말을 주고받음'과 '전화기'의 두 가지 뜻이 있다. 그 뒤에 '받다'가 올 때, '통화하다'는 뜻일 때는 붙여 쓰지만 '전화기를 건네받다'는 뜻일 때는 띄어 쓴다. '전화'가 전화기를 통해 이야기를 주고받는다는 추상적인 의미일 때 뒤에 오는 '-받다(-드리다)'는 접미사다. 전화기라는 구체적인 사물을 가리킬 경우에는 '받다(드리다)'가 동사다.

'전화받다, 전화드리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와 있지는 않다. 그러나 추상적인 개념의 단어 다음에 나오는 '-받다, -드리다'는 접미사이기 때문에 앞의 단어에 붙여 써야 한다.

'사랑하다, 가결되다, 이해시키다, 이용당하다'에서 '-하다, -되다, -시키다, -당하다' 등도 접미사이므로 명사 따위에 바로 이어서 나올 때는 반드시 붙여 쓴다. 다만 '사랑을 하다'같이 중간에 조사가 들어가거나 '행복한 사랑 하세요'처럼 앞에 수식하는 말이 있을 경우에는 '하다'가 동사이므로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받다, 드리다'는 중간에 조사가 나오지 않아도 동사가 될 때가 있으므로 띄어쓰기를 할 때 주의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25
2820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42
281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43
2818 글러브, 글로브 바람의종 2010.05.29 12491
2817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213
2816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94
2815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46
2814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61
2813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761
2812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919
2811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302
2810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3993
2809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08
2808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636
2807 금슬/금실, 사주단주/사주단자 바람의종 2008.06.04 10289
2806 금시에, 금세, 금새, 그새 바람의종 2010.03.13 15157
2805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15
2804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084
2803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3
2802 기가 막히다 바람의종 2007.12.29 19739
2801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480
2800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06
2799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