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0 15:27

친구이다

조회 수 1181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친구이다

많이 받는 질문 가운데 하나가 "친구이다" "친구다" 둘 중 어느 쪽으로 표기해야 하느냐는 것이다. 이 경우 둘 다 가능한 표기이기는 하다. 그러나 서술격조사의 기본형인 '-이다'는 '친구'처럼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붙으면 어색하다. 이때는 '이'를 빼고 '-다'만 써야 자연스럽다. 특히 '아이' '보기' '예' 등 'ㅣ'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이다'를 붙여 쓰면 아주 거북하다.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태도이다" "그것은 당연한 결과이다"는 "~태도다" "~결과다"가 자연스럽다. "그는 참으로 영특한 아이이다" "잘못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예이다"는 "~아이다" "~예다"가 부드럽다. 실제 생활에서는 이들을 ''-이다''가 아니라 ''-다''로 말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이다" "내가 이 일에 나선 것은 어려운 사람을 돕기 위해서이다"와 같이 '-이다'는 용언의 어미 또는 조사나 부사 뒤에도 붙을 수 있다. 이때도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생각하느냐다" "~위해서다"처럼 '-다'만 붙여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모음으로 끝나는 말 다음에는 '-이다'보다 '-다'가 자연스러움에도 표기에 혼란을 주는 것은 문어체인 '-이다'를 고집하면서 아직까지 이렇게 글을 쓰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주로 학자들로, 과거의 타성에 젖어 실생활에서 쓰는 말과 동떨어진 문어체 표기를 계속하고 있다. '-이다'와 같은 문어체로는 '되어''되었다'와 '하여''하였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91
3106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40
3105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41
3104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41
3103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43
3102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744
3101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54
310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754
3099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54
3098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755
3097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758
3096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767
3095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76
3094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76
3093 존맛 風文 2023.06.28 1777
3092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90
3091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791
3090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98
3089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802
3088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810
3087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10
3086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813
3085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8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