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6 14:55

지천에 폈다

조회 수 1045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천에 폈다

봄은 마음에서 먼저 시작된다. 개나리가 담장을 기웃거리고 진달래가 산허리를 수줍게 감싸기 전에 마음은 황망히 음습한 겨울을 밀어내고 봄맞이 채비를 서두른다. 그러나 올해는 봄꽃이 한발 앞서 계절을 알려 왔다. 남부 지방은 물론 설악산에도 야생화가 지천으로 피었다는 소식이다. '지천'은 '매우 흔하다'는 뜻으로 "마을 뒷산에는 갖가지 들꽃과 봄나물이 지천이다" "예년보다 한 달가량 일찍 설악산 국립공원에 현호색.노루귀 등이 지천으로 피어 등산객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와 같이 쓰인다. 주로 서술격조사 '-이다'나 부사격조사 '-(으)로'를 붙여 '지천이다' '지천으로'의 꼴로 사용하는데 이를 '지천에'로 잘못 표현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봄이면 진달래와 아카시아 꽃이 지천에 피어 마을은 온통 달콤한 꽃향기로 가득 찼다" "옛사람들은 봄이 되면 지천에 깔린 나물을 뜯어 반찬을 해 먹었다" "길가의 화단 등 지천에 널린 게 꽃이건만 꽃을 찾아 나선 상춘객들로 고속도로는 연일 붐빈다"처럼 쓰고 있지만 '지천으로'로 고쳐야 한다. '지천'의 한자어를 '땅과 하늘(地天)'로 생각해 '곳곳에' 정도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나 '지천(至賤)'은 사물이 여기저기 아주 흔하게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으로'를 붙여 쓰는 게 자연스럽다. "지리산 자락에 지천으로 핀 산수유 꽃이 화사한 봄 빛깔을 뽐내기 시작했다"와 같이 표현하거나 아예 쉬운 말로 풀어 쓰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07
2402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68
2401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68
2400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465
2399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61
2398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457
2397 와중 바람의종 2010.11.05 10457
» 지천에 폈다 바람의종 2011.11.16 10457
2395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455
2394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53
2393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448
2392 냄새, 내음 바람의종 2010.08.25 10447
2391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46
2390 영락없다 바람의종 2007.05.18 10444
2389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39
2388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38
2387 이제나저제나 바람의종 2010.03.10 10435
2386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432
2385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28
2384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24
2383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422
2382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8
2381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