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78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초생달이 지고 밤이 으슥해진 뒤에야 그는 비로서 길을 나섰다."

이 문장에서 잘못 사용된 단어들을 찾아보자.

우선 '초생달'은 '초승달'로 쓰는 게 맞다. '초승달'은 초승(음력으로 그달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간)에 뜨는 달로 초저녁에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초승'이란 말이 '初生'이란 한자에서 나왔으니 사실 '초생달'이라고 쓸 근거는 있다고 할 수 있지만 현재는 '초승달'만 인정되고 있다. 북한어에서는 '초생달'을 사용한다. 초승달은 각월(却月).세월(細月).신월(新月).초월(初月).현월(弦月)이라고도 한다.

초승달은 초저녁에만 뜨므로 달이 지고 나면 밤이 차츰 깊어진다. 밤이 꽤 깊어진 것을 나타낼 때 "몇 시간을 앉아 있었지만 고기는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았다. 밤이 으슥할 무렵 드디어 낚싯대 끝이 휙 구부러지며 큼직한 놈이 한 마리 걸려들었다"에서처럼 '으슥하다'를 쓰는 걸 가끔 볼 수 있는데 이때는 '밤이 이슥할 무렵'처럼 '이슥하다'를 쓰는 게 바르다. '으슥하다'는 '무서움을 느낄 만큼 깊숙하고 후미지다' 라는 뜻으로 '집으로 돌아가려면 으슥한 골목길을 지나가야만 했다"처럼 사용된다.

끝 부분의 '비로서'도 자주 틀리는 단어인데 '비로소'로 쓰는 게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49
3348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19
3347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121
3346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121
3345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122
3344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124
33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126
3342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127
3341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127
33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127
3339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130
3338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133
3337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133
3336 쓰봉 風文 2023.11.16 1133
3335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34
3334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137
3333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38
3332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147
3331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147
3330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149
3329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151
3328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151
3327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1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