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5 09:13

빼았기다 / 빼앗기다

조회 수 1199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았기다 / 빼앗기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은 아이들에게도 대목이다. 고대하던 세뱃돈을 받는 날이기 때문이다. 얼마를 모을 수 있을지 가늠해 보기도 하고, 받은 돈을 어떻게 하면 부모에게 빼앗기지 않을지 궁리하기도 한다. '세뱃돈 많이 받기'와 '세뱃돈 빼앗기지 않기'가 아이들의 인터넷 검색어 순위 상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인터넷에 들어가 보니 재미있는 글이 올라 있다. "세뱃돈을 엄마에게 빼았겼어요. 엄마가 미성년자라고 하면서 돈을 달라고 해서 할 수 없이 빼았겼어요. 그럼 전 미성년자라 돈을 갖고 있으면 안 되고 돌려받을 수도 없는 건가요?" 얼마나 억울했으면 이런 하소연을 남겼나 싶어 웃음이 나오기도 한다.

어쨌거나 이처럼 '빼앗기다'는 내용을 언급할 때 '안 빼았기기' '빼았기지 않기' 등과 같이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각각 '안 빼앗기기' '빼앗기지 않기'로 적어야 한다. "누구에게도 당신의 꿈을 빼았기지 말라" "중국에 역사를 빼았겨서는 안 된다" 등처럼 어른들도 잘못 표기하는 예가 흔하다.

'빼앗다'는 '빼앗아, 빼앗으니, 빼앗는'으로 활용된다. 준말인 '뺏다' 형태로도 사용되며, 이때는 '뺏어, 뺏으니, 뺏는'으로 활용된다. 어느 경우든 '뺐-'이나 '빼았-' 형태는 나올 수 없다. '빼앗아'는 준말로 활용하면 '뺏어'가 된다(빼앗아=뺏어). 아이에게서 세뱃돈을 뺏었다는 불평을 듣지 않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곳에 쓰게 하거나 통장을 만들어 주는 등 요령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24
1742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71
1741 주최, 주관, 후원 바람의종 2009.07.23 7844
1740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57
1739 더하고 빼기 바람의종 2009.07.24 7682
1738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54
1737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86
1736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29
1735 유월과 오뉴월 바람의종 2009.07.24 7185
1734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77
173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732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64
1731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905
1730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506
1729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37
1728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78
1727 봉우리, 봉오리 바람의종 2009.07.26 10776
1726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204
1725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55
1724 꺼벙이 바람의종 2009.07.27 7167
1723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19
1722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40
1721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