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5 09:13

빼았기다 / 빼앗기다

조회 수 1201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았기다 / 빼앗기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은 아이들에게도 대목이다. 고대하던 세뱃돈을 받는 날이기 때문이다. 얼마를 모을 수 있을지 가늠해 보기도 하고, 받은 돈을 어떻게 하면 부모에게 빼앗기지 않을지 궁리하기도 한다. '세뱃돈 많이 받기'와 '세뱃돈 빼앗기지 않기'가 아이들의 인터넷 검색어 순위 상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인터넷에 들어가 보니 재미있는 글이 올라 있다. "세뱃돈을 엄마에게 빼았겼어요. 엄마가 미성년자라고 하면서 돈을 달라고 해서 할 수 없이 빼았겼어요. 그럼 전 미성년자라 돈을 갖고 있으면 안 되고 돌려받을 수도 없는 건가요?" 얼마나 억울했으면 이런 하소연을 남겼나 싶어 웃음이 나오기도 한다.

어쨌거나 이처럼 '빼앗기다'는 내용을 언급할 때 '안 빼았기기' '빼았기지 않기' 등과 같이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각각 '안 빼앗기기' '빼앗기지 않기'로 적어야 한다. "누구에게도 당신의 꿈을 빼았기지 말라" "중국에 역사를 빼았겨서는 안 된다" 등처럼 어른들도 잘못 표기하는 예가 흔하다.

'빼앗다'는 '빼앗아, 빼앗으니, 빼앗는'으로 활용된다. 준말인 '뺏다' 형태로도 사용되며, 이때는 '뺏어, 뺏으니, 뺏는'으로 활용된다. 어느 경우든 '뺐-'이나 '빼았-' 형태는 나올 수 없다. '빼앗아'는 준말로 활용하면 '뺏어'가 된다(빼앗아=뺏어). 아이에게서 세뱃돈을 뺏었다는 불평을 듣지 않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곳에 쓰게 하거나 통장을 만들어 주는 등 요령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64
2886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986
2885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5997
2884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2
2883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6003
2882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09
2881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10
2880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14
2879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6018
2878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25
287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28
2876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29
2875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8
2874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43
2873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48
2872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52
2871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4
2870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8
2869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068
2868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6070
2867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071
2866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75
2865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60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