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4 17:13

거시기

조회 수 1045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시기

최근 '거시기'가 표준어냐 아니냐를 놓고 논란이 인 적이 있다. 결국 표준어라고 판정이 났지만(표준어 규정 제4항에 당당히 표준어로 예시되어 있음), 뭔가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고 있다. 표준어라는 판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은 여전히 이 말이 방언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충분히 이유 있는 의심이다. '거시기'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제1항)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말은 호남 지역에서나 주로 들을 수 있다. 말하자면, '거시기'는 원칙대로 사정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충분한 언어 현실 조사 없이 사정이 이뤄진 결과이다. 이런 문제가 어디 '거시기'에 국한되겠는가? '시방(時方:지금), 짱짱하다(팽팽하다/튼튼하다), 식겁하다(질겁하다), 짠하다(가엾다)' 등은 국어사전에 표준어로 올라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방언의 혐의가 짙어 보인다. 이렇듯 치밀성이 결여된 표준어 사정도 문제지만, 표준어는 맞는 말이고 방언은 틀린 말이라는 일반인의 인식이 더 큰 문제다. 이것은 표준어 제도가 가져온 커다란 폐해이다. '거시기'가 설사 방언이라 할지라도 틀린 말이거나 열등한 말이 결코 아니다. 방언도 훌륭한 우리말 자산이다. 방언에는 우리말의 역사가 아로새겨져 있을 뿐 아니라, 언어의 역동성과 다양성이 살아 숨 쉬고 있다. 다만, 방언은 지역어이기 때문에 극히 규범적인 말이나 글에서는 쓰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6
3084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430
3083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919
3082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918
3081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89
3080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317
3079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09
3078 추석 바람의종 2010.08.07 11195
3077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358
3076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864
3075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66
3074 추격, 추적 바람의종 2010.10.18 11353
3073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27
3072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351
3071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618
3070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828
3069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900
3068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231
3067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634
3066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93
3065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78
3064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632
3063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4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