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4 17:13

거시기

조회 수 1044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시기

최근 '거시기'가 표준어냐 아니냐를 놓고 논란이 인 적이 있다. 결국 표준어라고 판정이 났지만(표준어 규정 제4항에 당당히 표준어로 예시되어 있음), 뭔가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고 있다. 표준어라는 판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은 여전히 이 말이 방언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충분히 이유 있는 의심이다. '거시기'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제1항)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말은 호남 지역에서나 주로 들을 수 있다. 말하자면, '거시기'는 원칙대로 사정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충분한 언어 현실 조사 없이 사정이 이뤄진 결과이다. 이런 문제가 어디 '거시기'에 국한되겠는가? '시방(時方:지금), 짱짱하다(팽팽하다/튼튼하다), 식겁하다(질겁하다), 짠하다(가엾다)' 등은 국어사전에 표준어로 올라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방언의 혐의가 짙어 보인다. 이렇듯 치밀성이 결여된 표준어 사정도 문제지만, 표준어는 맞는 말이고 방언은 틀린 말이라는 일반인의 인식이 더 큰 문제다. 이것은 표준어 제도가 가져온 커다란 폐해이다. '거시기'가 설사 방언이라 할지라도 틀린 말이거나 열등한 말이 결코 아니다. 방언도 훌륭한 우리말 자산이다. 방언에는 우리말의 역사가 아로새겨져 있을 뿐 아니라, 언어의 역동성과 다양성이 살아 숨 쉬고 있다. 다만, 방언은 지역어이기 때문에 극히 규범적인 말이나 글에서는 쓰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36
3084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498
3083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93
3082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90
3081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80
3080 노가리 까다 바람의종 2008.02.22 13477
3079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465
3078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461
3077 노파심 바람의종 2010.11.01 13459
3076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59
3075 좋으네요, 좋네요 바람의종 2010.04.19 13439
3074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438
3073 초를 치다 바람의종 2010.09.05 13433
3072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430
3071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29
3070 ‘강시울’과 ‘뒤매’ 바람의종 2010.06.20 13426
3069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425
306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406
3067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406
3066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401
3065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00
306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390
3063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