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1 16:04

쌍둥밤 / 쌍동밤

조회 수 953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쌍둥밤 / 쌍동밤

조율이시. 차례에 쓰이는 과실을 상에 올릴 때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차린다는 뜻이다. 과실이 품은 씨의 수에 따라 감보다 배를 먼저 놓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율곡의 ''격몽요결''엔 율조시이로 돼 있는 등 지방이나 가정에 따라 그 순서는 조금씩 다르다.

제사상에 올릴 밤을 까다 보면 한 껍데기 속에 두 쪽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할 때가 있다. 이런 밤을 가리켜 흔히 '쌍둥밤'이라고 한다. 생김새가 똑같은 쌍둥이를 떠올려 "얘야, 예로부터 쌍둥밤은 사이좋게 나눠 먹는 거라고 했단다"처럼 쓰는 사람이 많지만 '쌍동밤'이라고 해야 맞다.

'쌍동(雙童)'과 '밤'이 합해진 말인 '쌍동밤'은 그러한 성질이 있거나 그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둥이'가 붙은 '쌍둥이'와는 그 구조가 다르다. '-둥이'가 붙어 이뤄진 말이 아니므로 '쌍둥'으로 적어선 안 된다. "밤송이를 까면/ 밤 하나하나에도/ 다 앉음앉음이 있어/ 쭉정밤 회오리밤 쌍동밤/ 생애의 모습 저마다 또렷하다"(오탁번의 '밤')와 같이 써야 한다. 쌍동아들.쌍동딸.쌍동중매.쌍동바람꽃도 마찬가지 형태다.

간혹 "독일산 밤은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속껍질이 과육 내부로 파고들어 간 쪽밤이 많아 한국에서처럼 삶아서 찻숟가락으로 파먹는 게 힘들다"처럼 쌍동밤을 '쪽밤'으로도 쓰지만 아직은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01
2798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2797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705
2796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698
2795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697
2794 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3.03 11689
2793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86
2792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82
2791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74
2790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72
2789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68
2788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68
2787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7
2786 재료, 원료 바람의종 2010.06.20 11660
2785 설화, 눈꽃, 상고대, 서리꽃 바람의종 2010.01.27 11659
2784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655
2783 기면 기고 바람의종 2010.01.28 11647
2782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45
2781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40
2780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639
2779 눈시울, 눈자위, 눈두덩 바람의종 2009.10.27 11638
2778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633
2777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6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