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1 16:04

쌍둥밤 / 쌍동밤

조회 수 950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쌍둥밤 / 쌍동밤

조율이시. 차례에 쓰이는 과실을 상에 올릴 때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차린다는 뜻이다. 과실이 품은 씨의 수에 따라 감보다 배를 먼저 놓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율곡의 ''격몽요결''엔 율조시이로 돼 있는 등 지방이나 가정에 따라 그 순서는 조금씩 다르다.

제사상에 올릴 밤을 까다 보면 한 껍데기 속에 두 쪽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할 때가 있다. 이런 밤을 가리켜 흔히 '쌍둥밤'이라고 한다. 생김새가 똑같은 쌍둥이를 떠올려 "얘야, 예로부터 쌍둥밤은 사이좋게 나눠 먹는 거라고 했단다"처럼 쓰는 사람이 많지만 '쌍동밤'이라고 해야 맞다.

'쌍동(雙童)'과 '밤'이 합해진 말인 '쌍동밤'은 그러한 성질이 있거나 그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둥이'가 붙은 '쌍둥이'와는 그 구조가 다르다. '-둥이'가 붙어 이뤄진 말이 아니므로 '쌍둥'으로 적어선 안 된다. "밤송이를 까면/ 밤 하나하나에도/ 다 앉음앉음이 있어/ 쭉정밤 회오리밤 쌍동밤/ 생애의 모습 저마다 또렷하다"(오탁번의 '밤')와 같이 써야 한다. 쌍동아들.쌍동딸.쌍동중매.쌍동바람꽃도 마찬가지 형태다.

간혹 "독일산 밤은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속껍질이 과육 내부로 파고들어 간 쪽밤이 많아 한국에서처럼 삶아서 찻숟가락으로 파먹는 게 힘들다"처럼 쌍동밤을 '쪽밤'으로도 쓰지만 아직은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17
1368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1
1367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533
1366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3
1365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33
1364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38
1363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9
1362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0
1361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44
1360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44
1359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45
1358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47
1357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1356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51
1355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53
1354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53
1353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57
135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560
1351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63
1350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63
1349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68
1348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68
1347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