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5

푸르름

조회 수 930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르름

최고의 권위와 최대의 어휘를 자랑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푸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물론 이는 실수가 아니고 의도적인 배제임이 분명하다.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푸르름'은 '푸르르-+-ㅁ'으로 분석되는데, 한국어 형용사에 '푸르르다'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범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렇게 쉽게 폐기해 버리기엔 뭔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이 말은 수많은 문학작품에 쓰여 왔다. 애초에 음률을 고르기 위해 시어로서 쓰이기 시작했을 이 단어는 시뿐만 아니라 소설.수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의 서정적인 글쓰기에도 자주 등장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미 상당한 언어 세력을 얻은 단어라 할 수 있다.
둘째, 규범형이라고 할 수 있는 '푸름'은 '푸르름'을 대신하기 어렵다.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푸름'은 푸른 빛깔을 모두 가리키지만 '푸르름'은 숲이나 바다 등의 싱그러운 푸른빛만을 가리킨다. '푸르름'에는 특별한 정서적 분위기가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셋째, 중세 국어에는 '프르다'와 '프를다'가 병존했는데, '푸르름'은 기원적으로 '프를-+-음'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이런 가정이 옳다면 '푸르름'이 문법적 일탈을 범했다는 혐의도 벗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58
1566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38
156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41
1564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4
1563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46
1562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148
1561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49
1560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152
1559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55
155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6
1557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59
1556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60
1555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2
155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67
1553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68
1552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75
1551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80
1550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81
1549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81
1548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81
154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82
1546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87
1545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