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5.01 14:34

'자처'와 '자청'

조회 수 9209 추천 수 2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처'와 '자청'

"이 광고를 촬영할 때 '가게가 예쁘게 나오도록 하려면 여기서 찍어'라며 카메라 각도를 알려주고 '소쿠리는 이게 제격이지'라며 화면에 나오면 좋을 것 같은 소품을 집에서 갖고 오는 등 마을 주민들이 조감독 역을 자처했다."

위 예문에서 '조감독 역을 자처했다'는 제대로 쓰인 것일까. '자처'와 '자청'은 자칫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다. '자처(自處)는 '자기를 어떤 사람으로 여겨 그렇게 처신함'이라는 뜻이다. 이에 비해 자청(自請)은 '어떤 일에 나서기를 스스로 청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위 글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자신을 조감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자기 마을에서 광고를 찍으니 기뻐서 스스로 나서 조감독처럼 도와주는 것일 뿐이다. 이럴 경우는 ''조감독 역을 자처했다''가 아니라 ''조감독 역을 자청했다''로 하는 것이 옳다.

"공자는 주(周) 문왕(文王)의 정신적 계승자를 자처했다." "공형진은 좋은 연극을 할 요량으로 극단 ''유''의 막내 단원 되기를 자청했다." 이 두 예문에서는 자처와 자청이 바르게 쓰였다. 공자는 스스로를 문왕의 정신적 계승자로 생각하고 있고, 공형진은 연극을 하기 위해 자기가 원해서 고달픈 막내 단원이 되려는 것이다.

다시 정리하면 '자신이 어떤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자처라면 '어떤 일을 맡아서 하겠다고 스스로 나서는 것'이 자청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46
2710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45
2709 복약 설명서 바람의종 2011.11.14 10988
2708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47
2707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43
2706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49
2705 정보무늬 바람의종 2011.11.13 12458
2704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39
2703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31
2702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803
2701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66
2700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37
2699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235
2698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441
2697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93
2696 공공칠 바람의종 2011.11.10 10976
2695 면면이, 면면히 바람의종 2011.10.27 10878
2694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4
2693 방금 바람의종 2011.10.27 8794
2692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54
2691 은폐, 은닉 바람의종 2011.10.25 10768
2690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64
2689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