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5.01 14:32

끼치다와 미치다

조회 수 12731 추천 수 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끼치다와 미치다

"경제적.경제외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동하는 환율은 다시 국제수지, 물가, 경제성장 등 경제 변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책의 저자들은 최명희의 '혼불',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 문학작품에서 방언이 작품의 리얼리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고 있다."

'끼치다'는 '영향.해.은혜 따위를 당하거나 입게 하다'란 뜻이고, '미치다'는 '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해지다. 또는 그것을 가하다'라는 의미다. 사전의 뜻풀이나 앞에 든 예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끼치다'와 '미치다'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하지만 '끼치다'는 대체로 다른 사람에게 걱정(심려/염려), 누(累), 불편, 수고, 손해, 폐(弊), 해(害) 등을 주게 될 때 사용된다. "인간 사회에서 그 누구든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면서까지 자유를 누릴 수는 없다" "선생님께 누를 끼친 것은 아닌지 심히 염려됩니다" "하수도 공사로 보행자들께 불편을 끼쳐 죄송합니다"처럼 긍정적인 말보다는 부정적인 말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끼치다'가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다. "크든 작든 자신에게 은혜를 끼친 사람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보답할 줄 아는 것이 사람의 도리다" "현재의 역사가들 중에서도 로마문명을 이렇게까지 발전시키는 데 가장 큰 공로를 끼친 사람을 카이사르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등에서 이 사실을 알 수 있다.

'미치다'는 받는 쪽보다는 주는 사람 쪽에 초점이 있으나, '끼치다'는 주는 쪽보다는 받는 사람 쪽에 초점이 있다(임홍빈, ''뉘앙스 풀이를 겸한 우리말사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7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42
3018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91
3017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60
301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321
301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999
3014 오합지졸 바람의종 2007.12.16 10646
3013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72
3012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712
3011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91
3010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60
3009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127
3008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233
3007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822
3006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80
3005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533
300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18
300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97
3002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504
3001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60
3000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658
2999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825
2998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86
2997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6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