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163 추천 수 4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영호와 수희는 단둘이 {살짝궁/살짜꿍} 데이트를 했다.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편찬)에 따르면 위 문장에서 '살짝궁'은 옳고 '살짜꿍'은 그르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뭔가 석연찮은 데가 있다.
'살짝궁'은 '살짝'과 '궁'으로 분석될 수 있다. '살짝'은 부사이고 '-궁'은 접사이다. 문제는 부사 뒤에 접사가 결합했을 때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는가이다. 한글 맞춤법 제25항에 따르면 부사에 접사 '-이'가 붙어 역시 부사가 되는 경우에 원형을 밝혀 적는다고 되어 있다. '곰곰이, 더욱이, 일찍이' 등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이' 이외의 접사와 결합할 때에는 어떠한가? 아쉽게도 맞춤법에 그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없다. 그런데 사전에서 부사가 '-이' 이외의 접사와 결합하는 예를 찾아보면 대부분 원형을 밝혀 적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가령, 일찌감치(일찍+-암치), 갸우뚱(갸웃+-둥), 짝짜꿍(짝짝+-궁) 등은 원형을 밝혀 적지 않고 있다. 따라서 표기 원칙의 일관성을 위해 '살짝+-궁' 역시 '살짝궁'이 아닌 '살짜꿍'으로 적어야 합리적이다. 참고로 한마디 부언한다면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는 '살짝이 옵서예'가 맞는다. '살짝이'는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누락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69
2688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44
268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05
2686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08
2685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09
268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37
2683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02
2682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275
2681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06
268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49
2679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584
2678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288
267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42
2676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23
»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63
2674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65
2673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40
2672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185
2671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01
2670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54
2669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7881
2668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37
2667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