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950 추천 수 3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당분간은 추위가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적인 자산운용사 UBS의 대한투신운용 인수가 돌출적인 감독 당국의 개입으로 주춤해졌다." 기상 예보나 증권 시황 관련 기사들에 자주 나오는 '주춤해지다'는 표현은 잘못 쓰는 말이다.

'주춤하다, 주춤거리다, 주춤대다'(어떤 행동이나 걸음 따위를 망설이며 자꾸 머뭇거리다)는 자동사이므로 '아/어지다'를 덧붙일 필요가 없다. 동사 그대로 활용해 '주춤할' '주춤했다/주춤거리고 있다'로 써야 한다.

'성숙해지다'도 잘못 쓰고 있는 대표적인 예다. "아직도 많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여러 방면에서 양적으로 성숙해지는 것에 비해 그 평가나 기대효과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지난 1년간 통일된 비폭력저항운동을 하면서 많은 경험을 했고 많이 성숙해졌습니다" 등에서 '성숙(成熟)하다'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성숙해지다'로 쓰면 틀린다. '성숙하는' '성숙했다'로 써야 맞다.

"온라인에서 불법 복제물을 발견해도 시정하는 데 3~4일이나 걸려 이미 복제가 만연해진 뒤에 뒷북치는 식이 많았다" "논리와 실증이 빈약한데도 재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국내에 팽배해진 데에는 재벌 문제에 관한 논의가 이렇게 정치화됐기 때문이다"의 '만연해진' '팽배해진'도 동일한 사례다. '만연(蔓延/蔓衍)하다' '팽배(澎湃/彭湃)하다'가 자동사이므로 '만연해 있는' '만연한'으로, '팽배하게 된, 팽배해 있는'으로 써야 바르다.

이런 단어들을 잘못 사용하는 까닭은 이들을 형용사인 줄로 착각해 이것을 다시 동사로 만들어 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7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80
1940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62
1939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62
1938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64
1937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4
193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6
1935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71
1934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76
1933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78
1932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82
1931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86
1930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94
1929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198
1928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0
1927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0
1926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03
1925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204
1924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08
192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215
1922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15
1921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17
1920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18
1919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