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70 추천 수 4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사랑의 아픔은 누구나 한 번은 겪는 일이다." "한 번에 일을 끝내기는 힘들다." "이 문제를 한번 잘 생각해 봐.""기회가 되면 한번 식사나 합시다."

'한 번'과 '한번'은 같은 글자로 돼 있지만 어떤 때는 '한 번'이라 띄어 쓰고, 어떤 때는 '한번'이라 붙여 쓴다. 많은 사람이 어떤 경우에 띄어 쓰고 붙여 쓰는지 정확히 구분하지 못한다. 띄어 쓴 '한 번'은 두 번이나 세 번이 아닌 '1회'라는 뜻이다. 반면 붙여 쓴 '한번'은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하다(한번 해 보다), 기회 있는 어떤 때(집에 한번 놀러오세요), 지난 어느 때나 기회(한번은 그런 일도 있었지), 어떤 행동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춤 한번 잘 춘다)'에 쓰인다. 즉 '1회'라는 뜻이면 '한'과 '번'이 두 단어이고, 합쳐져 새로운 의미가 되면 한 단어다. 따라서 '1회'라는 뜻일 때만 띄어 쓴다고 생각하면 쉽다.

'큰 소리/ 큰소리(과장), 큰 집/ 큰집(종가)' 등도 의미에 따라 띄어쓰기를 달리하는 경우다. 또 '파란색'은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쓰지만 "너무 파란 색은 오히려 탁해 보인다"에서는 띄어 써야 한다. 바로 앞에 있는 '너무'가 '파란'을 꾸미고 있기 때문이다. 붙여 쓰면 '너무'가 '파란색'을 꾸미게 돼 문법적으로 맞지 않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58
3282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97
3281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98
3280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98
3279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99
3278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99
327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03
3276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05
3275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07
3274 지슬 風文 2020.04.29 1508
3273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10
3272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10
3271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2
327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15
3269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17
3268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67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19
32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2
3265 내일러 風文 2024.01.03 1522
3264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23
3263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26
326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27
326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