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11 22:34

섬뜩하다, 섬찟하다

조회 수 12908 추천 수 4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섬뜩하다, 섬찟하다

ㄱ. 섬찟할 만큼 매서운 눈초리.
ㄴ. 붉은 핏자국을 보는 순간 가슴이 섬찟했다.

우리는 오싹하는 공포나 두려움을 느낄 때 위 문장에서처럼 '섬찟하다'를 쓰곤 한다. 하지만 이 말의 표준어는 '섬뜩하다'이다.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한 표준어 규정 제25항에 따라 '섬뜩하다'만 표준어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아닌 게 아니라 말뭉치를 검색해 보면 '섬찟'에 비해 '섬뜩'이 압도적인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섬찟'과 '섬뜩'의 의미가 백 퍼센트 같은지는 의문이다. 다음의 예를 보자.

ㄷ. 그는 나를 보자 섬찟 놀라 뒤로 물러섰다.
ㄹ. 옷 속으로 파고드는 그의 손이 섬뜩하게 차가웠다.

ㄱ, ㄴ과 달리 ㄷ, ㄹ에서는 '섬찟'과 '섬뜩'을 맞바꾸기가 좀 망설여진다. ㄷ의 경우 '섬뜩'은 덜 자연스럽고, ㄹ의 경우 '섬찟하다'는 어색하다. 이는 두 단어가 미세한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섬찟'과 '섬뜩'은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상순(사전 편찬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49
3018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51
3017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51
3016 마는, 만은 바람의종 2010.10.11 12937
3015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909
3014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908
»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908
3012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99
3011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98
3010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1
3009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879
3008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874
3007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69
3006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69
3005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51
3004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48
3003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38
3002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21
3001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19
3000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02
2999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01
2998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97
2997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