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512 추천 수 5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담갔다, 담았다, 담그다

지난해 개봉돼 관심을 끌었던 영화 '가문의 부활'은 최고의 조폭 가문으로 이름을 날리던 백호파의 회장이 검사를 며느리로 맞아들이면서 벌어지는 좌충우돌을 그렸다. 백호파 회장은 검사 며느리로 인해 조폭 생활을 청산하고 자신의 손맛을 기반으로 '썰어 담궈 묻어'를 외치며 '엄니손 김치' 사업으로 업종을 바꾼다. 영화에 나오는 '썰어 담궈 묻어'라는 노래는 '가문송'이라는 이름으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여기에서 '담궈'는 '담가'의 잘못이다. 흔히 "계곡 물에 발을 담구니 시원하기 그지없다" "오랜만에 총각김치를 담궜다"처럼 '담구다' 또는 '담궜다'는 표현을 많이 쓰지만 '담그다' '담갔다'가 바른 말이다. '담그다'는 김치.젓갈.술 등을 만드는 재료를 버무리거나 물을 부어 익거나 삭도록 그릇에 넣어 두는 것을 뜻한다. '담그다'는 무엇을 액체 속에 넣을 때도 쓰인다. 기본형이 '담그다'이기 때문에 '담구니, 담궈, 담궈서'가 아니라 '담그니, 담가, 담가서' 등으로 활용된다. '쓰(다)+어'가 '써'로 되거나 '쓰(다)+었다'가 '썼다'가 되는 것처럼 어간에 들어 있는 '으'가 모음으로 된 어미 앞에서 탈락한 경우다.

영화에 나오는 '썰어 담궈 묻어'는 '썰어 담가 묻어'로 해야 한다. 일부 지방에서 "김치를 담았다"고도 하는데, 이때의 '담다(담았다)'는 '담그다(담갔다)'의 사투리다. 단순히 '넣다'는 의미로는 "김치를 항아리에 담았다"처럼 표현할 수 있다. 배추를 양념에 버무려 김치를 만드는 것은 '담그다'이고, 그것을 그릇에 넣는 것은 '담다'라는 것을 알아두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05
3194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567
3193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69
3192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70
3191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573
3190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73
3189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74
3188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76
3187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82
3186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83
3185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89
318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90
3183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93
3182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96
3181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96
3180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97
3179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99
317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99
317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99
317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606
3175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608
317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11
3173 ‘이’와 ‘히’ 風文 2023.05.26 16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