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05 22:26

구랍

조회 수 11149 추천 수 4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랍

해가 바뀌면 언론매체에서 지난해 12월을 '구랍'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올해도 예외가 아니다. "구랍 30일 개장한 눈썰매장이 시민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구랍 31일 지린성에서 남편과 감격적인 상봉을 했다" "구랍 31일 밤부터 해돋이를 보려는 인파가 몰려들었다" 등이 이러한 표현이다.

'구랍(舊臘)'의 '구(舊)'는 '옛'을 뜻하고, '랍(臘)'은 원래 납일(臘日:조상이나 종묘.사직에 제사 지내던 날)에 행하는 제사를 뜻하던 것이 차츰 변화해 '섣달'(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달)을 가리키게 됐다. 즉 '구랍'은 음력으로 '지난해 12월'을 뜻한다. 따라서 음력 1월 1일인 설날(올해는 양력 2월 18일)이 돼야 비로소 지나간 음력 한 달을 '구랍'이라 부를 수 있다.

 위에서처럼 양력을 기준으로 지난해 12월을 '구랍'이라 하는 것은 잘못이며, 음력과는 날짜 자체가 맞지 않는다. "구랍 11월 22일부터 올해 1월 2일까지 행사를 벌였다" "구랍 12월 31일 영화를 개봉했다"는 식의 표현도 나온다. 이 경우 '구랍'을 '지난해 12월'도 아니고 단순히 '지난해'로 알고 있는 듯하다.

'구랍'은 음력의 개념이므로 양력에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구랍'이 '지난해 12월'보다 짧게 표기할 수 있어 유용한 면이 있으나 음력과 양력은 날짜가 다르므로 단순히 바꿔 쓸 수가 없다. '구랍'은 대부분 사람에게 의미가 선뜻 다가오지 않는다는 점에서 굳이 이 단어를 써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34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194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57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4941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32
»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49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60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19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33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27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71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83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1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78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05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34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06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27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47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150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391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67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