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03 18:20

고백, 자백

조회 수 9330 추천 수 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백, 자백

 #1. 1912년 애인을 목 졸라 죽인 혐의로 한 남자가 기소된다. 확실한 알리바이가 있었지만 그는 범행 사실을 털어놓을 수밖에 없었다. 그의 손톱에서 피해자가 쓰던 분홍색 분가루가 묻은 피부 조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2. 취조실에 용의자와 두 명의 경찰이 있다. 한 명은 용의자를 마구 윽박지르는 나쁜 경찰이다. 또 한 명은 나쁜 경찰을 나무라며 부드러운 말로 용의자를 타이르는 좋은 경찰이다. 처음에 나쁜 경찰에게 시달린 용의자는 이후 들어온 좋은 경찰의 한마디에 설득되며 자신의 죄를 순순히 밝힌다.

 현대 과학수사의 길을 제시한 법의학자 에드몽 로카르의 일화를 다룬 첫 번째 얘기와 경찰과 용의자 간 고도의 심리전을 보여 주는 두 번째 얘기에서 결국 범인들은 자신의 죄를 스스로 밝힌다. 이 경우 '자백'이란 단어가 어울릴까, 고백이란 말이 적합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자백'으로 써야 한다. '자백'은 자기가 저지른 죄나 허물 등을 남들 앞에서 스스로 털어놓는다, '고백'은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이나 감춰 둔 것을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한다는 뜻이다. 둘 다 털어놓는 것이지만 주로 상대방의 추궁이나 강요에 의해 이뤄지는 게 '자백'이라면 '고백'은 본인의 뜻에 따른 것이란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달콤한 사랑 자백" "형사의 추궁에 범행 일체를 고백한 범인"이라고 쓰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42
2996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886
2995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766
299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49
2993 바람의종 2013.01.25 17901
2992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19
2991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046
2990 두루 흐린 온누리 바람의종 2013.01.04 21052
2989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529
2988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63
2987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331
2986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043
2985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182
2984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464
2983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44
2982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124
2981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52
298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981
2979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760
2978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67
2977 달디달다, 다디달다 바람의종 2012.12.05 21414
2976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603
2975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