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02 15:14

문책과 인책

조회 수 9870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책과 인책

'문책(問責)'과 '인책(引責)'은 분명히 다른 말인데도 혼동해 잘못 쓰일 때가 가끔 있다. '문책'은 책임을 묻는다는 뜻이다. '문책'의 문이 '물을 문(問)'이기 때문이다. '인책'은 자신에게로 끌어당겨 책임을 진다는 의미다. '인책'의 인이 '끌어당길 인(引)'이기 때문이다.

① "계열사가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경영진단은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인책으로 끝나지만,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은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의 경질로 이어지기도 한다."
② "5.31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뒤에는 당 의장이 인책 사퇴하는가 하면, 의원들은 석고대죄하고…."

①에서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인책'은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만일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의 인책'이라면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이 책임을 진다'는 뜻이므로 말이 되지만,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인책'은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문책'으로 바로잡아야 문맥에 어울린다. ②에서는 '당 의장이 스스로 책임을 지고 사퇴한다'는 뜻이므로 '인책'이 바르게 쓰였다.

'문책'은 '잘못을 캐묻고 꾸짖음'이란 의미다. "상사에게 문책을 당했다" "잘못된 일처리에 대해 담당자를 문책했다"처럼 써야 맞다. '인책은 '잘못된 일의 책임을 스스로 짐'이란 뜻이다. "인책 사임" "인책 사퇴"와 같이 쓰인다.

 한편 "시민단체가 관련자의 인책을 요구했다" "시민들은 정부 차원의 사과와 담당 장관의 인책을 요구했다" 등의 문장에서는 '인책'과 '문책'을 다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그 의미는 서로 다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35
1236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7
1235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37
1234 애시당초 바람의종 2010.03.03 7636
123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5
1232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34
1231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31
123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31
1229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28
1228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4
1227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18
1226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16
1225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15
122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07
1223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02
1222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0
1221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595
122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592
1219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592
1218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1
1217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90
1216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588
1215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