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02 15:14

문책과 인책

조회 수 9894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책과 인책

'문책(問責)'과 '인책(引責)'은 분명히 다른 말인데도 혼동해 잘못 쓰일 때가 가끔 있다. '문책'은 책임을 묻는다는 뜻이다. '문책'의 문이 '물을 문(問)'이기 때문이다. '인책'은 자신에게로 끌어당겨 책임을 진다는 의미다. '인책'의 인이 '끌어당길 인(引)'이기 때문이다.

① "계열사가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경영진단은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인책으로 끝나지만,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은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의 경질로 이어지기도 한다."
② "5.31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뒤에는 당 의장이 인책 사퇴하는가 하면, 의원들은 석고대죄하고…."

①에서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인책'은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만일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의 인책'이라면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이 책임을 진다'는 뜻이므로 말이 되지만,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인책'은 '해당 임원이나 실무 직원에 대한 문책'으로 바로잡아야 문맥에 어울린다. ②에서는 '당 의장이 스스로 책임을 지고 사퇴한다'는 뜻이므로 '인책'이 바르게 쓰였다.

'문책'은 '잘못을 캐묻고 꾸짖음'이란 의미다. "상사에게 문책을 당했다" "잘못된 일처리에 대해 담당자를 문책했다"처럼 써야 맞다. '인책은 '잘못된 일의 책임을 스스로 짐'이란 뜻이다. "인책 사임" "인책 사퇴"와 같이 쓰인다.

 한편 "시민단체가 관련자의 인책을 요구했다" "시민들은 정부 차원의 사과와 담당 장관의 인책을 요구했다" 등의 문장에서는 '인책'과 '문책'을 다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그 의미는 서로 다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49
1236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4
»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94
123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95
1233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99
1232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900
1231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0
1230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903
1229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05
1228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905
1227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919
1226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0
1225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20
1224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0
1223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23
1222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1221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928
1220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28
1219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31
1218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933
1217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33
1216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34
1215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9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