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01 21:13

팥죽에 새알심

조회 수 1121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팥죽에 새알심

동지를 예전엔 '작은설'이라 하여 사실상 새해의 시작으로 여겼다.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지가 지나면 낮이 다시 길어져 태양의 기운이 새롭게 회복된다고 믿었던 것이다. 책력을 나눠 주고, 액을 쫓아 준다는 붉은빛의 팥죽을 쑤어 먹으며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고 한 것도 이 때문이다. 동지팥죽엔 반죽한 수수나 찹쌀가루를 새알처럼 동글동글하게 빚어 넣어 이를 제 나이만큼 먹는다. 지역마다 오그랑이.오그랭이.새알.새알심.옹심이.옹시미.옹시래미 등 부르는 이름도 무척 다양하다.
 "북한에선 동짓날 찹쌀.밀 등 낟알가루를 반죽해 둥글게 빚은 떡인 오그랑이를 넣고 오그랑팥죽을 끓여 먹는다" "제사를 지낼 때 쓰는 팥죽에는 새알을 넣지 않고 잡귀를 쫓는 데 사용하는 팥죽에는 새알심을 넣는 지방도 있다" "감자 옹심이는 감자를 갈아 물기를 짜낸 뒤 녹말가루와 섞어 새알처럼 만든 다음 육수와 함께 끓여 낸 강원도의 별미다"와 같이 제각각 쓰고 있으나 현재 '새알심'만 표준어로 인정한다. 특히 크기와 모양이 새알 비슷하다 하여 '새알'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강원도와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다.

같은 동지라도 음력 11월 10일이 채 못 되어 들면 '애동지' 또는 '오동지'라 하는데 올해는 애동지에 해당한다. 애동지엔 새알심을 넣은 팥죽 대신 팥시루떡을 해 먹기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3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856
3194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50
3193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73
3192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62
3191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00
3190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39
3189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10
3188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384
318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643
3186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43
3185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34
3184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099
3183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097
3182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331
318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51
3180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578
3179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84
3178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59
3177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747
3176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80
3175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51
3174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48
3173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