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덥지 않은 소리

by 바람의종 posted Oct 30,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시덥지 않은 소리

어머니에게 자식은 나이에 상관없이 항상 아이 같은 존재인가 보다. 무슨 일을 하든 무슨 소리를 하든 언제나 노심초사, 자신이 겪어 온 험난한 세상을 자식이 과연 잘 헤쳐 나갈 수 있을까 사사건건 잔소리 아닌 잔소리를 쏟아내곤 하신다. 세월이 흘러 이제 반대로 자식이 부모를 걱정할 나이가 돼 "힘드시니까 김장 같은 건 손수 하지 마시고 사서 드세요"라고 권해도 '시덥지 않은' 소리는 하지도 말라며 정성 들여 담근 김치를 봉지 봉지 싸서 자식들마다 하나씩 부쳐 주신다.

'마음에 들지 않아 만족스럽지 못하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흔히 '시덥지 않다' '시덥지 못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 '시답지 않다' '시답지 못하다'로 쓰는 게 맞다. 원래 '시답다'는 '마음에 차거나 들어서 만족스럽다'라는 뜻이다. 이 단어는 '~지 않다' '~지 못하다'와 같은 부정적 표현과 함께 쓰이며 "이 책의 내용이 매우 시답다" "시다운 생각"처럼 단독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