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21 14:18

노랭이, 빨갱이

조회 수 1001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랭이, 빨갱이

돈에 인색한 사람을 흔히 '구두쇠, 수전노, 깍쟁이, 자린고비' 등으로 부른다. 최근 들어서는 속어로 '짠돌이, 짠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좀 어려운 말로는 '가린주머니, 보비리, 유재아귀(有財餓鬼)'와 같은 것도 있다. 그런데 우리가 즐겨 쓰고 있는 '노랭이'라는 말은 유감스럽게도 비표준어 딱지를 붙이고 있다. 그 표준어는 바로 '노랑이'다.

표준어 규정 제9항에 보면 'ㅣ' 역행동화를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되, 몇 낱말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했다. 곧 '-내기(시골내기/풋내기), 냄비, 동댕이치다'의 인정이 그것이다. 언어 현실을 반영하여 '-나기, 남비, 동당이치다'와 같은 원칙형 대신 동화형(同化形)을 인정한 것이다.

문제는 '노랭이'의 경우엔 왜 동화형이 인정되지 않는가이다. 동화형은 제9항에 예시한 세 경우에만 국한된 것인가? 그것은 아닌 듯하다. '빨갱이'(공산주의자의 속칭)는 제9항에서 예시하지 않았음에도 '빨강이'의 비표준어로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빨갱이'가 표준어라면 '노랭이'도 표준어라야 균형이 맞는다. '냄비, 빨갱이'가 언어 현실이듯 '노랭이'도 엄연한 언어 현실이다. '노랭이 영감, 노랭이짓'을 '노랑이 영감, 노랑이짓'으로 바꾸어 보라. 누런 황금에 눈이 어두워 다랍게 구는 사람이나 행위에서 느껴지는 말맛을 과연 느낄 수 있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84
2754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62
2753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461
2752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60
2751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56
2750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49
2749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49
2748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47
2747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38
2746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1
2745 너글너글하다, 느글느글하다 바람의종 2012.01.06 11430
2744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28
2743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28
2742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27
2741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22
2740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18
2739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16
2738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15
2737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13
2736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13
2735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06
2734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393
2733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