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21 14:18

노랭이, 빨갱이

조회 수 1004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랭이, 빨갱이

돈에 인색한 사람을 흔히 '구두쇠, 수전노, 깍쟁이, 자린고비' 등으로 부른다. 최근 들어서는 속어로 '짠돌이, 짠순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좀 어려운 말로는 '가린주머니, 보비리, 유재아귀(有財餓鬼)'와 같은 것도 있다. 그런데 우리가 즐겨 쓰고 있는 '노랭이'라는 말은 유감스럽게도 비표준어 딱지를 붙이고 있다. 그 표준어는 바로 '노랑이'다.

표준어 규정 제9항에 보면 'ㅣ' 역행동화를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되, 몇 낱말에 대해서는 예외를 인정했다. 곧 '-내기(시골내기/풋내기), 냄비, 동댕이치다'의 인정이 그것이다. 언어 현실을 반영하여 '-나기, 남비, 동당이치다'와 같은 원칙형 대신 동화형(同化形)을 인정한 것이다.

문제는 '노랭이'의 경우엔 왜 동화형이 인정되지 않는가이다. 동화형은 제9항에 예시한 세 경우에만 국한된 것인가? 그것은 아닌 듯하다. '빨갱이'(공산주의자의 속칭)는 제9항에서 예시하지 않았음에도 '빨강이'의 비표준어로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빨갱이'가 표준어라면 '노랭이'도 표준어라야 균형이 맞는다. '냄비, 빨갱이'가 언어 현실이듯 '노랭이'도 엄연한 언어 현실이다. '노랭이 영감, 노랭이짓'을 '노랑이 영감, 노랑이짓'으로 바꾸어 보라. 누런 황금에 눈이 어두워 다랍게 구는 사람이나 행위에서 느껴지는 말맛을 과연 느낄 수 있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04
2314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605
2313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45
2312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821
2311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54
2310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302
2309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125
2308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7007
2307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9
2306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71
2305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705
2304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62
2303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51
2302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939
2301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97
2300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16
2299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8007
2298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864
2297 따블 백 바람의종 2009.07.14 8091
2296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82
2295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1090
2294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903
2293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3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