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182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ㄱ. 어리숙한 시골 노인
 ㄴ. 어수룩한 시골 노인

 ㄱ과 ㄴ 가운데 어느 쪽이 자연스러운가? 대부분 둘 다 자연스럽다고 느낄 것이다. 그렇다면 둘 다 모두 바른 말인가? 표준어 규범은 '어리숙하다'를 비표준어로 다루고 있다. 이는 두 말이 완전 동의어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 문장을 보자.

 ㄷ. 세상이 그렇게 어수룩한 줄 알아?
 ㄹ. 그 팀은 수비가 어수룩하기 짝이 없다.

 위의 경우에는 '어수룩하다'를 '어리숙하다'로 바꾸기 어려워 보인다. ㄱ과 ㄴ의 경우에는 두 단어가 '사람이 때 묻지 않고 숫되다'의 의미를 공유하고 있는 반면, ㄷ과 ㄹ의 경우에는 '어수룩하다'만이 '사람 이외의 대상이 호락호락하거나 허술하다'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ㄱ과 ㄴ의 경우에도 찬찬히 뜯어보면 두 말 사이에 아주 미세한 차이가 있어 보인다. '어리숙하다'는 어리석음의 어감이, '어수룩하다'는 순박함의 어감이 두드러진다. 가령, "난 내가 너무 어리숙했다는 걸 깨달았다"와 "우리 선생님은 어수룩하지만 인간미가 넘치신다"의 경우, 두 단어를 서로 맞바꾸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두 말은 완전 동의어가 아니므로 복수 표준어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상순(사전 편찬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13
275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215
2753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38
2752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34
2751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13
275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703
2749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19
2748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6
2747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734
2746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38
2745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583
2744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20
2743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29
2742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31
2741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10
2740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06
2739 자치동갑 바람의종 2010.10.18 11082
2738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79
2737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60
2736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29
2735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95
2734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11
273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