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173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ㄱ. 어리숙한 시골 노인
 ㄴ. 어수룩한 시골 노인

 ㄱ과 ㄴ 가운데 어느 쪽이 자연스러운가? 대부분 둘 다 자연스럽다고 느낄 것이다. 그렇다면 둘 다 모두 바른 말인가? 표준어 규범은 '어리숙하다'를 비표준어로 다루고 있다. 이는 두 말이 완전 동의어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다음 문장을 보자.

 ㄷ. 세상이 그렇게 어수룩한 줄 알아?
 ㄹ. 그 팀은 수비가 어수룩하기 짝이 없다.

 위의 경우에는 '어수룩하다'를 '어리숙하다'로 바꾸기 어려워 보인다. ㄱ과 ㄴ의 경우에는 두 단어가 '사람이 때 묻지 않고 숫되다'의 의미를 공유하고 있는 반면, ㄷ과 ㄹ의 경우에는 '어수룩하다'만이 '사람 이외의 대상이 호락호락하거나 허술하다'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ㄱ과 ㄴ의 경우에도 찬찬히 뜯어보면 두 말 사이에 아주 미세한 차이가 있어 보인다. '어리숙하다'는 어리석음의 어감이, '어수룩하다'는 순박함의 어감이 두드러진다. 가령, "난 내가 너무 어리숙했다는 걸 깨달았다"와 "우리 선생님은 어수룩하지만 인간미가 넘치신다"의 경우, 두 단어를 서로 맞바꾸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두 말은 완전 동의어가 아니므로 복수 표준어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상순(사전 편찬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80
2754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73
2753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70
2752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64
2751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62
2750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461
2749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56
2748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454
2747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52
2746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49
2745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4
2744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33
2743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30
2742 너글너글하다, 느글느글하다 바람의종 2012.01.06 11430
2741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28
2740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26
2739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22
2738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18
2737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17
2736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14
2735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13
2734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13
2733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