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74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첫눈이 오는 날 다시 만나요." 이렇듯 겨울 사랑은 첫눈과 함께 온다. 아침부터 잿빛으로 잔뜩 찌푸린 하늘을 보니 금세라도 눈이 '①내릴듯 하다/ ②내릴 듯하다/ ③내릴듯하다'.

 앞글에서 ① ② ③의 띄어쓰기 중 어느 것이 맞을까? 정답은 ①은 틀리고 ②와 ③은 맞다. 이렇듯 '듯'과 '하다'가 연결된 말은 띄어쓰기를 할 때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듯'과 '하다'가 결합하는 형태는 '듯'이 어간 다음에 바로 오는 경우("변덕이 죽 끓듯 하다/ 그는 그 많은 돈을 떡 주무르듯 한다")와 관형사형 다음에 오는 경우("오늘은 좋은 일이 있을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어미 '-듯'과 동사 '하다'로 나누어지는 구조다. 이때의 '-듯'은 '-듯이'의 준말로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의 '가듯'과 같이 어간에 바로 결합한다. 그러므로 '끓듯 하다'처럼 띄어 쓴다. 반면 두 번째의 '듯하다'는 전체가 보조용언이다. 보조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있을 듯하다/있을듯하다' 둘 다 가능하다. 이처럼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는 앞말이 언제나 관형형이다.

 간단히 요약하면, 앞말이 어간이면 '-듯'이 어미이므로 '하다'와 띄어 쓰고, 관형형이면 '듯하다' 전체가 보조용언이므로 붙여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50
3326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027
3325 핸드폰, 휴대전화 바람의종 2008.11.19 6814
3324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56
3323 해프닝 바람의종 2010.03.22 10740
3322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452
3321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460
3320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97
3319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807
3318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860
3317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84
3316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739
3315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74
3314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95
3313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80
3312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217
3311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55
3310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52
3309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251
3308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422
3307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482
3306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89
3305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