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14 14:35

냄비 / 남비

조회 수 1386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선냄비

성탄절이 가까워 오던 18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조셉 맥피라는 구세군 사관은 재난을 당한 1000여 도시 빈민을 먹여 살릴 궁리를 하다 기발한 생각을 하게 된다. 집안에서 사용하던 큰 솥을 오클랜드 부두로 들고 나가 거리에 내걸었다. "이 국 솥을 끓게 합시다." 얼마 지나지 않아 빈민들에게 식사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기금이 마련됐다.

 1928년 12월 15일 서울.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던 박준섭(조셉 바아)은 도심에 자선냄비를 설치하고 불우이웃돕기 모금을 시작한다. "가난한 이웃을 도웁시다." 메가폰을 통해 울려 퍼지는 자선의 목소리와 종소리는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의 가슴을 데우며 사랑의 손길을 내밀게 했다.

 당시에는 '자선냄비'가 아니라 '자선남비'라 불렸으며, 오래도록 이 용어를 사용해 왔다. '남비'가 일본어 '나베(鍋)'에서 온 말이라 해 원형을 의식, '남비'로 표기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8년 표준어 규정을 개정하면서 'ㅣ' 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냄비'를 표준어로 삼았다. '서울나기' '풋나기' 등 '-나기'도 '서울내기' 등 '-내기'로 함께 바뀌었다. 구세군 '자선남비'도 '자선냄비'로 이름을 바꾸게 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3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24
2754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722
2753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68
2752 내부치다, 내붙이다 바람의종 2010.11.05 12254
2751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65
2750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2749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79
2748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89
2747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229
2746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498
2745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218
2744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807
2743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72
2742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8
2741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10.10.21 10653
2740 노랭이, 빨갱이 바람의종 2010.10.21 10039
2739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바람의종 2010.10.18 27110
2738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148
2737 추격, 추적 바람의종 2010.10.18 11339
2736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15
2735 담배 한 까치, 한 개비, 한 개피 바람의종 2010.10.16 18121
2734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793
2733 보유고, 판매고, 수출고 바람의종 2010.10.14 88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