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13 16:36

눈꼬리와 눈초리

조회 수 1256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꼬리와 눈초리

은림의 눈꼬리가 날카롭게 올라갔다. (공지영, ''고등어'')
 주모가 살살 녹아내리는 웃음을 눈꼬리에 담으며 눙치고 들었다. (조정래, ''태백산맥'')

 위 문장에서 '눈꼬리'라는 말의 쓰임에 주목해 보자. 대부분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현행 어문 규범을 따르려면 위 문장의 '눈꼬리'는 '눈초리'로 모두 바꿔 써야 한다. 표준어 규범이 '눈꼬리'를 '눈초리'의 잘못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규정은 일반 언중의 직관과 충돌한다. 곧 '눈꼬리'는 '가늘게 좁혀진 눈의 끝 부분'으로, '눈초리'는 '어떤 표정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시선'으로 인식하는 것이 한국어 화자의 직관이다. 그리하여 눈꼬리는 올라가거나 처지거나 찢어졌다고 말하고, 눈초리는 사납거나 매섭거나 날카롭다고 말한다.

 이런 언어 현실을 도외시하고 '눈꼬리'를 비표준어로 정한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난날 '눈초리'가 '눈꼬리'의 뜻으로 쓰였다 하더라도('눈초리'의 '초리'는 '꼬리'의 옛말이다), 오늘날 의미 분화를 일으켜 '눈초리'와 '눈꼬리'가 별개의 단어가 되었음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됐다. 이제라도 '눈꼬리'는 규범어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51
2754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21
2753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22
2752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87
2751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077
2750 유돌이, 유도리 바람의종 2011.12.04 15727
2749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바람의종 2011.12.04 10276
2748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73
2747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34
2746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481
2745 '꾀임'에 당하다 바람의종 2011.11.28 8885
2744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89
2743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157
2742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812
2741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918
2740 앙갚음, 안갚음 바람의종 2011.11.27 13889
2739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208
2738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4
2737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30
273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00
2735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52
2734 전화 받다 / 전화받다 바람의종 2011.11.24 10304
2733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3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