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13 16:36

눈꼬리와 눈초리

조회 수 1255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꼬리와 눈초리

은림의 눈꼬리가 날카롭게 올라갔다. (공지영, ''고등어'')
 주모가 살살 녹아내리는 웃음을 눈꼬리에 담으며 눙치고 들었다. (조정래, ''태백산맥'')

 위 문장에서 '눈꼬리'라는 말의 쓰임에 주목해 보자. 대부분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현행 어문 규범을 따르려면 위 문장의 '눈꼬리'는 '눈초리'로 모두 바꿔 써야 한다. 표준어 규범이 '눈꼬리'를 '눈초리'의 잘못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규정은 일반 언중의 직관과 충돌한다. 곧 '눈꼬리'는 '가늘게 좁혀진 눈의 끝 부분'으로, '눈초리'는 '어떤 표정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시선'으로 인식하는 것이 한국어 화자의 직관이다. 그리하여 눈꼬리는 올라가거나 처지거나 찢어졌다고 말하고, 눈초리는 사납거나 매섭거나 날카롭다고 말한다.

 이런 언어 현실을 도외시하고 '눈꼬리'를 비표준어로 정한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난날 '눈초리'가 '눈꼬리'의 뜻으로 쓰였다 하더라도('눈초리'의 '초리'는 '꼬리'의 옛말이다), 오늘날 의미 분화를 일으켜 '눈초리'와 '눈꼬리'가 별개의 단어가 되었음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됐다. 이제라도 '눈꼬리'는 규범어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7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89
2754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49
2753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444
2752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43
2751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42
2750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438
2749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37
2748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1
2747 너글너글하다, 느글느글하다 바람의종 2012.01.06 11430
2746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28
2745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27
2744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26
2743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22
2742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19
2741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18
2740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15
2739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14
2738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13
2737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10
2736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08
2735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398
2734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392
2733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3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