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04 18:46

뫼시어라

조회 수 955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뫼시어라

 사극에서 "어서 안으로 뫼시어라" "공주마마를 뫼시고 오너라" "제가 뫼시겠습니다"와 같이 ''뫼시다''를 기본형으로 하는 말들이 종종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뫼시다''는 현행 표기법상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모시다'라고 써야 현대 어법에 맞다. '뫼시다'는 '모시다'의 옛말이다. 그런데 아직도 많은 사람이 글을 쓸 때나 이야기를 할 때 "스승을 잘 뫼셔야 한다" "내일 부모를 뫼시고 오너라"처럼 '뫼시다'를 기본형으로 하는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아마도 '뫼시다'를 '모시다'의 존칭으로 생각하고 그리 쓰는 것 같다. 그러나 '모시다'라는 말 자체가 웃어른이나 존경하는 이를 받드는 높임말이므로 "스승을 잘 모셔야 한다" "부모를 모시고 오너라"처럼 쓰는 것이 옳다. 사극에서 옛말을 살려 '뫼시다' 형태의 말을 쓰는 것은 잘못됐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까지 '뫼시다'를 쓰는 것은 올바른 언어생활이 아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06
2732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48
2731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47
2730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45
2729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41
2728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41
2727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37
272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30
2725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3
2724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421
2723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7
272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408
2721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407
2720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405
2719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405
2718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400
2717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400
2716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97
2715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96
2714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96
2713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92
2712 담배 한 보루 바람의종 2008.02.04 11391
2711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