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5 15:09

~노, ~나

조회 수 8965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 ~나

 "무 대리와 왕 대리 중 한 명이 영업 2부로 간다며?" "그리 친한데 헤어지려 하겠노?" "사장님 지시라는데 어쩔 수 있나유."

 방언은 문학이나 드라마에서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배경 등을 나타내는 긴요한 도구다.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 인물의 대화를 생생하게 표현할 때도 자주 사용된다. 그런데 방언 중에는 용법이 특이한 것들이 있어서 그 지역 사람이 아니면 잘 모르는 경우도 있다. 영남 방언의 어미인 ''-노''의 경우가 그러하다.

 "니 정말로 그랬노? 언제 그랬노?"처럼 ''-노''만 붙이면 영남식의 의문문이 되는 걸로 생각하기가 쉽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는 "니 정말로 그랬노?"라고는 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니 정말로 그랬나?"라고 한다. 반면 "언제 그랬노?"는 자연스러운 표현이다. 차이가 뭘까?

 앞에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가 있느냐가 열쇠다. 앞에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 있으면 '-노'를 붙이는 게 자연스럽지만 그렇지 않을 때 '-노'를 쓰면 대체로 부자연스럽다고 느끼게 된다. 이때는 '-노' 대신 '-나' 등의 어미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어디 가노?" "뭐 하노" "왜 하노?" "어떻게 하노?" 등은 자연스럽지만 "그들이 헤어지려 하겠노?" "철수는 공부 잘하노?"는 어색하다. 이때는 "헤어지려 하겠나?" "공부 잘하나?" 등으로 쓰는 게 제대로 된 용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29
1632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14
1631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18
1630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23
1629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23
1628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25
1627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27
1626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930
1625 불호령 風磬 2006.12.23 8938
162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42
1623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43
1622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50
1621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1620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55
1619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56
1618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57
1617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57
1616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58
1615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58
1614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63
1613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64
1612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65
»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