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5 15:07

유해, 유골

조회 수 14373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유해, 유골

"난징대학살 기념관에는 학살 당시의 유골이 묻혀 있는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육군본부와 육군 을지부대가 6.25전쟁 당시 전사한 장병들의 유해 발굴 작업을 추진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유골(遺骨)'을 '주검을 태우고 남은 뼈. 또는 무덤 속에서 나온 뼈'로, '유해(遺骸)'는 '유골'과 동의어로 풀이해 놓았다. 骸는 '뼈 해'자다. 따라서 '유해'와 '유골'은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骨과 骸는 좀 다르다. 자전(字典)을 보면 骸에는 '해골' '(사람의) 뼈' 외에 '몸, 신체'라는 뜻이 더 있다. 따라서 '유해'를 '유골'의 뜻 외에 '주검.시신'의 뜻으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현실에서 '유해'가 '시신'보다 격식을 차린 말로 쓰인다는 점도 '유해'가 '유골'의 뜻을 넘어선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중국 서부의 한 사막에는, 서양인의 모습을 한 키가 크고 머리칼이 붉은 사람들의 유해가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보존돼 있다"에서 '유해'를 '유골'로 바꿀 수 없다는 점도 이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유골'과 '유해'를 구분해야 할 경우, '유골'은 '죽은 사람의 남은 뼈'나 '화장하고 남은 뼈'를, '유해'는 육탈(肉脫)해 뼈만 있는 게 아니라 죽은 사람의 살이 남아있는 시신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609
2622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16
2621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10014
2620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70
2619 은폐, 은닉 바람의종 2011.10.25 10768
2618 은어와 속어 바람의종 2010.03.10 10859
2617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202
2616 은둔, 은신 바람의종 2010.08.25 10487
2615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36
2614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376
2613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967
2612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67
2611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5073
2610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7000
2609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73
2608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58
2607 육시랄 놈 바람의종 2008.02.29 18082
2606 육상대회 바람의종 2011.11.16 11106
2605 육개장 바람의종 2008.04.28 5949
2604 유혈목이, 새홀리기 바람의종 2010.04.02 10815
»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73
2602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7
2601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