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5 15:07

유해, 유골

조회 수 14388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유해, 유골

"난징대학살 기념관에는 학살 당시의 유골이 묻혀 있는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육군본부와 육군 을지부대가 6.25전쟁 당시 전사한 장병들의 유해 발굴 작업을 추진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유골(遺骨)'을 '주검을 태우고 남은 뼈. 또는 무덤 속에서 나온 뼈'로, '유해(遺骸)'는 '유골'과 동의어로 풀이해 놓았다. 骸는 '뼈 해'자다. 따라서 '유해'와 '유골'은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骨과 骸는 좀 다르다. 자전(字典)을 보면 骸에는 '해골' '(사람의) 뼈' 외에 '몸, 신체'라는 뜻이 더 있다. 따라서 '유해'를 '유골'의 뜻 외에 '주검.시신'의 뜻으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현실에서 '유해'가 '시신'보다 격식을 차린 말로 쓰인다는 점도 '유해'가 '유골'의 뜻을 넘어선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중국 서부의 한 사막에는, 서양인의 모습을 한 키가 크고 머리칼이 붉은 사람들의 유해가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보존돼 있다"에서 '유해'를 '유골'로 바꿀 수 없다는 점도 이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유골'과 '유해'를 구분해야 할 경우, '유골'은 '죽은 사람의 남은 뼈'나 '화장하고 남은 뼈'를, '유해'는 육탈(肉脫)해 뼈만 있는 게 아니라 죽은 사람의 살이 남아있는 시신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44
2732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41
2731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439
2730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34
2729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33
272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432
2727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3
2726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417
2725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7
2724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17
2723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405
2722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404
2721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94
2720 담배 한 보루 바람의종 2008.02.04 11391
2719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389
2718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86
2717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85
2716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83
2715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80
2714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378
2713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77
2712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77
2711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