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5 15:07

유해, 유골

조회 수 14407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유해, 유골

"난징대학살 기념관에는 학살 당시의 유골이 묻혀 있는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육군본부와 육군 을지부대가 6.25전쟁 당시 전사한 장병들의 유해 발굴 작업을 추진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유골(遺骨)'을 '주검을 태우고 남은 뼈. 또는 무덤 속에서 나온 뼈'로, '유해(遺骸)'는 '유골'과 동의어로 풀이해 놓았다. 骸는 '뼈 해'자다. 따라서 '유해'와 '유골'은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骨과 骸는 좀 다르다. 자전(字典)을 보면 骸에는 '해골' '(사람의) 뼈' 외에 '몸, 신체'라는 뜻이 더 있다. 따라서 '유해'를 '유골'의 뜻 외에 '주검.시신'의 뜻으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현실에서 '유해'가 '시신'보다 격식을 차린 말로 쓰인다는 점도 '유해'가 '유골'의 뜻을 넘어선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중국 서부의 한 사막에는, 서양인의 모습을 한 키가 크고 머리칼이 붉은 사람들의 유해가 놀라울 정도로 완벽하게 보존돼 있다"에서 '유해'를 '유골'로 바꿀 수 없다는 점도 이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유골'과 '유해'를 구분해야 할 경우, '유골'은 '죽은 사람의 남은 뼈'나 '화장하고 남은 뼈'를, '유해'는 육탈(肉脫)해 뼈만 있는 게 아니라 죽은 사람의 살이 남아있는 시신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900
3194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00
3193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01
319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602
3191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03
3190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05
3189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11
3188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613
3187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614
318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618
3185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20
3184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624
3183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24
3182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25
3181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32
3180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632
317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32
3178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34
3177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35
317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635
3175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36
3174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37
31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