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4 19:36

주어지다

조회 수 1241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어지다

11월도 어느덧 중순으로 접어들었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각 분야에서 한 해를 정리하는 시상식이 열리기 시작했다. 19일 대한민국영화대상이 예정돼 있는 등 문화.예술 분야의 시상식이 연말에 집중적으로 열린다. 시상식에서 사회자가 "누구에게 무슨 상이 주어지겠습니다" "부상으로 무엇이 주어지겠습니다"고 표현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주어지다'는 '주다'의 피동 형태이지만 '주다'에 대응하는 '받다'가 있으므로 어설픈 말이다. '때리다'에 대응하는 '맞다'가 있기 때문에 '때려지다'고 하면 어색한 것과 마찬가지다. '받다'가 의미상 '주다'의 피동을 나타내므로 '주다' 아니면 '받다'가 돼야 한다. 따라서 "누가 무슨 상을 받겠습니다" "부상으로 무엇을 받겠습니다"고 해야 한다.

 이처럼 어법에 어긋나는 '주어지다'가 거리낌 없이 쓰이게 된 것은 영어 'give'의 수동태인 ''be+given''을 '주어지다'로 단순 번역한 때문이다. '주다'에 맞서는 말인 '받다'가 있으므로 '받다' 형태로 해야 우리말 체계에 맞다. 요즘은 '주어지다'가 어울리지 않는 자리에 마구 쓰이고 있다.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하고 있다"(→맡은 일을~),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는다"(→기회가 쉽게 오지 않는다) 등처럼 아무 데나 사용하고 있다.

 시상식에서는 상이나 부상을 '주다' 아니면 '받다' 둘 중 하나로 표현해야 한다. 다른 낱말이 어울리는 자리에는 '주어지다'를 사용하지 말고 적절한 표현으로 바꾸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05
2732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47
2731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45
2730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41
2729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37
2728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36
2727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431
272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27
2725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3
2724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421
2723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7
2722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405
2721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404
2720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400
2719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96
2718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94
2717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92
2716 담배 한 보루 바람의종 2008.02.04 11391
271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391
2714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391
2713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87
2712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85
2711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