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4 19:36

주어지다

조회 수 12372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어지다

11월도 어느덧 중순으로 접어들었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각 분야에서 한 해를 정리하는 시상식이 열리기 시작했다. 19일 대한민국영화대상이 예정돼 있는 등 문화.예술 분야의 시상식이 연말에 집중적으로 열린다. 시상식에서 사회자가 "누구에게 무슨 상이 주어지겠습니다" "부상으로 무엇이 주어지겠습니다"고 표현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주어지다'는 '주다'의 피동 형태이지만 '주다'에 대응하는 '받다'가 있으므로 어설픈 말이다. '때리다'에 대응하는 '맞다'가 있기 때문에 '때려지다'고 하면 어색한 것과 마찬가지다. '받다'가 의미상 '주다'의 피동을 나타내므로 '주다' 아니면 '받다'가 돼야 한다. 따라서 "누가 무슨 상을 받겠습니다" "부상으로 무엇을 받겠습니다"고 해야 한다.

 이처럼 어법에 어긋나는 '주어지다'가 거리낌 없이 쓰이게 된 것은 영어 'give'의 수동태인 ''be+given''을 '주어지다'로 단순 번역한 때문이다. '주다'에 맞서는 말인 '받다'가 있으므로 '받다' 형태로 해야 우리말 체계에 맞다. 요즘은 '주어지다'가 어울리지 않는 자리에 마구 쓰이고 있다.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하고 있다"(→맡은 일을~), "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는다"(→기회가 쉽게 오지 않는다) 등처럼 아무 데나 사용하고 있다.

 시상식에서는 상이나 부상을 '주다' 아니면 '받다' 둘 중 하나로 표현해야 한다. 다른 낱말이 어울리는 자리에는 '주어지다'를 사용하지 말고 적절한 표현으로 바꾸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46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44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1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020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36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54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73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30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48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27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212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92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9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1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13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53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06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8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12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31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63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98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