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3 19:36

공권력

조회 수 821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권력

 "불법 점거 농성 현장에 공권력이 투입됐다." "민주화 투쟁과 역사 발전에 헌신하다 분신.투신 등으로 세상을 떠났거나 공권력의 고문과 폭력으로 희생된 분들을 기린다." "미국 시청자 입장에서 시위대가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을 공격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장면'으로 분류된다."

 '공권력(公權力)'이란 낱말은 최근에 생긴 것이다. 주로 발음을 어떻게 하느냐로 관심의 대상이 됐다. 표준 발음은 [공꿘녁]으로 결론 났고, 주요 사전들이 모두 이 발음을 따르고 있다. 그 이유는 이 낱말이 '공+권력'이 아니라 '공권+력'으로 구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만일 '공+권력'이라면 [공꿜력]이 표준 발음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보면, '국가나 공공 단체가 우월한 의사의 주체로서 국민에게 명령하고 강제할 수 있는 권력'으로 돼 있다. 동아새국어사전도 '국가나 공공 단체가 국민에 대해 명령.강제하는 권력, 또는 그 권력을 행사하는 국가'로 설명한다. 두 사전의 뜻풀이를 요약하면 '국가나 공공 단체의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의(定義)는 표준 발음의 근거가 되는 '공권+력'(공권의 힘)이 아니라 '공+권력'(공적인 권력)을 따르고 있어 단어의 구성과 뜻풀이가 서로 어긋난다. '공권력'이 '공권+력'으로 구성됐다면 그 뜻풀이도 '공권의 힘'이라고 해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15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588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90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91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806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76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22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452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418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17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37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25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59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7900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112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790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53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0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31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08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74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