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3 19:36

공권력

조회 수 8264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권력

 "불법 점거 농성 현장에 공권력이 투입됐다." "민주화 투쟁과 역사 발전에 헌신하다 분신.투신 등으로 세상을 떠났거나 공권력의 고문과 폭력으로 희생된 분들을 기린다." "미국 시청자 입장에서 시위대가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을 공격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장면'으로 분류된다."

 '공권력(公權力)'이란 낱말은 최근에 생긴 것이다. 주로 발음을 어떻게 하느냐로 관심의 대상이 됐다. 표준 발음은 [공꿘녁]으로 결론 났고, 주요 사전들이 모두 이 발음을 따르고 있다. 그 이유는 이 낱말이 '공+권력'이 아니라 '공권+력'으로 구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만일 '공+권력'이라면 [공꿜력]이 표준 발음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보면, '국가나 공공 단체가 우월한 의사의 주체로서 국민에게 명령하고 강제할 수 있는 권력'으로 돼 있다. 동아새국어사전도 '국가나 공공 단체가 국민에 대해 명령.강제하는 권력, 또는 그 권력을 행사하는 국가'로 설명한다. 두 사전의 뜻풀이를 요약하면 '국가나 공공 단체의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의(定義)는 표준 발음의 근거가 되는 '공권+력'(공권의 힘)이 아니라 '공+권력'(공적인 권력)을 따르고 있어 단어의 구성과 뜻풀이가 서로 어긋난다. '공권력'이 '공권+력'으로 구성됐다면 그 뜻풀이도 '공권의 힘'이라고 해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98
1896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55
1895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89
1894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51
1893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939
1892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88
1891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83
189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8
1889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80
1888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95
1887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10006
1886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626
1885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582
1884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74
1883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668
1882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472
1881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9041
1880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117
1879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83
1878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26
1877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58
1876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37
1875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