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3 19:36

공권력

조회 수 825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권력

 "불법 점거 농성 현장에 공권력이 투입됐다." "민주화 투쟁과 역사 발전에 헌신하다 분신.투신 등으로 세상을 떠났거나 공권력의 고문과 폭력으로 희생된 분들을 기린다." "미국 시청자 입장에서 시위대가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을 공격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장면'으로 분류된다."

 '공권력(公權力)'이란 낱말은 최근에 생긴 것이다. 주로 발음을 어떻게 하느냐로 관심의 대상이 됐다. 표준 발음은 [공꿘녁]으로 결론 났고, 주요 사전들이 모두 이 발음을 따르고 있다. 그 이유는 이 낱말이 '공+권력'이 아니라 '공권+력'으로 구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만일 '공+권력'이라면 [공꿜력]이 표준 발음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보면, '국가나 공공 단체가 우월한 의사의 주체로서 국민에게 명령하고 강제할 수 있는 권력'으로 돼 있다. 동아새국어사전도 '국가나 공공 단체가 국민에 대해 명령.강제하는 권력, 또는 그 권력을 행사하는 국가'로 설명한다. 두 사전의 뜻풀이를 요약하면 '국가나 공공 단체의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의(定義)는 표준 발음의 근거가 되는 '공권+력'(공권의 힘)이 아니라 '공+권력'(공적인 권력)을 따르고 있어 단어의 구성과 뜻풀이가 서로 어긋난다. '공권력'이 '공권+력'으로 구성됐다면 그 뜻풀이도 '공권의 힘'이라고 해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27
1896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78
1895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77
1894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176
1893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75
189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75
1891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67
1890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62
1889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0
1888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9
1887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8
1886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57
1885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1
1884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50
1883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50
1882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49
1881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7
188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44
1879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78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40
1877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39
1876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30
187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