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3 19:36

공권력

조회 수 8244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권력

 "불법 점거 농성 현장에 공권력이 투입됐다." "민주화 투쟁과 역사 발전에 헌신하다 분신.투신 등으로 세상을 떠났거나 공권력의 고문과 폭력으로 희생된 분들을 기린다." "미국 시청자 입장에서 시위대가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을 공격하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장면'으로 분류된다."

 '공권력(公權力)'이란 낱말은 최근에 생긴 것이다. 주로 발음을 어떻게 하느냐로 관심의 대상이 됐다. 표준 발음은 [공꿘녁]으로 결론 났고, 주요 사전들이 모두 이 발음을 따르고 있다. 그 이유는 이 낱말이 '공+권력'이 아니라 '공권+력'으로 구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만일 '공+권력'이라면 [공꿜력]이 표준 발음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보면, '국가나 공공 단체가 우월한 의사의 주체로서 국민에게 명령하고 강제할 수 있는 권력'으로 돼 있다. 동아새국어사전도 '국가나 공공 단체가 국민에 대해 명령.강제하는 권력, 또는 그 권력을 행사하는 국가'로 설명한다. 두 사전의 뜻풀이를 요약하면 '국가나 공공 단체의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의(定義)는 표준 발음의 근거가 되는 '공권+력'(공권의 힘)이 아니라 '공+권력'(공적인 권력)을 따르고 있어 단어의 구성과 뜻풀이가 서로 어긋난다. '공권력'이 '공권+력'으로 구성됐다면 그 뜻풀이도 '공권의 힘'이라고 해야 서로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83
2732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426
2731 철장신세 바람의종 2011.11.21 10650
2730 캥기다 바람의종 2011.11.21 13207
2729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295
2728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81
2727 친구이다 바람의종 2011.11.20 11797
2726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37
2725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79
2724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53
2723 거꾸로 / 반대로 바람의종 2011.11.17 11818
2722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93
2721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593
2720 짜장면과 오뎅 바람의종 2011.11.17 11303
2719 지천에 폈다 바람의종 2011.11.16 10462
2718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66
2717 육상대회 바람의종 2011.11.16 11106
2716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06
2715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바람의종 2011.11.15 18867
2714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13
2713 자(字) 바람의종 2011.11.15 10751
2712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45
2711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