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1 14:58

빈대떡

조회 수 8114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빈대떡

"양복 입은 신사가 요릿집 문 앞에서 …중략…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 한 푼 없는 건달이 요릿집이 무어냐 기생집이 무어냐."
 대중가요 '빈대떡 신사'의 노랫말이다. 막걸리와 함께 서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알려진 빈대떡은 전(煎)의 하나로 녹두를 물에 불려 껍질을 벗긴 후 맷돌에 갈아 나물, 쇠고기나 돼지고기 따위를 넣고 번철에 부쳐 만드는 음식이다. '녹두부침개, 녹두전, 녹두전병, 녹두지짐' 등 그 이름도 다양하다. 국어사전에서도 이 이름 모두를 표준어로 처리하고 있다. 빈대떡은 '빙쟈[餠 食+者]'에서 온 말로 해방 후 '빈자떡(貧者-)'이 일반화돼 쓰였으나, 이후 음식점 등에서 '빈자떡' '빈대떡(貧待-)'이 같이 쓰이다 한글로 '빈대떡'만이 표준어가 됐다.
 빈대떡의 다른 이름 중 '녹두부침개, 녹두전, 녹두전병' 등은 '부침개, 전, 전병' 등이 표준말이므로 표기법상 별로 문제될 게 없다. 그러나 사전에 '지짐'을 '저냐, 빈대떡, 튀김'의 방언으로 해 놓고 '녹두지짐'을 표준어로 올려놓은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 기름에 지진 음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표준말이 '지짐이'이니 '녹두지짐이'가 더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 또 '부침개=부침' '전병=부꾸미'로 처리하고 있으면서 '녹두부침, 녹두부꾸미'는 표제어로 올리지 않은 이유도 궁금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11
2732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389
2731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384
2730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379
2729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73
2728 안전과 안정 바람의종 2010.03.13 11371
2727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369
2726 부기와 붓기 바람의종 2010.05.18 11367
2725 담배 한 보루 바람의종 2008.02.04 11365
2724 대중, 민중, 군중 바람의종 2012.01.08 11364
2723 사람 이름 짓기 바람의종 2010.01.26 11359
2722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57
2721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55
2720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2
2719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52
2718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51
2717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349
2716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49
2715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348
2714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46
2713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45
2712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2
2711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