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1 14:58

빈대떡

조회 수 8145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빈대떡

"양복 입은 신사가 요릿집 문 앞에서 …중략…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 한 푼 없는 건달이 요릿집이 무어냐 기생집이 무어냐."
 대중가요 '빈대떡 신사'의 노랫말이다. 막걸리와 함께 서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알려진 빈대떡은 전(煎)의 하나로 녹두를 물에 불려 껍질을 벗긴 후 맷돌에 갈아 나물, 쇠고기나 돼지고기 따위를 넣고 번철에 부쳐 만드는 음식이다. '녹두부침개, 녹두전, 녹두전병, 녹두지짐' 등 그 이름도 다양하다. 국어사전에서도 이 이름 모두를 표준어로 처리하고 있다. 빈대떡은 '빙쟈[餠 食+者]'에서 온 말로 해방 후 '빈자떡(貧者-)'이 일반화돼 쓰였으나, 이후 음식점 등에서 '빈자떡' '빈대떡(貧待-)'이 같이 쓰이다 한글로 '빈대떡'만이 표준어가 됐다.
 빈대떡의 다른 이름 중 '녹두부침개, 녹두전, 녹두전병' 등은 '부침개, 전, 전병' 등이 표준말이므로 표기법상 별로 문제될 게 없다. 그러나 사전에 '지짐'을 '저냐, 빈대떡, 튀김'의 방언으로 해 놓고 '녹두지짐'을 표준어로 올려놓은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 기름에 지진 음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표준말이 '지짐이'이니 '녹두지짐이'가 더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 또 '부침개=부침' '전병=부꾸미'로 처리하고 있으면서 '녹두부침, 녹두부꾸미'는 표제어로 올리지 않은 이유도 궁금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30
2732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7
2731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2730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9
2729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5
2728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28
2727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77
2726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91
2725 줏개 file 바람의종 2009.09.03 6923
2724 에프엠 바람의종 2009.09.03 9620
2723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190
2722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68
2721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449
2720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35
2719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49
2718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68
2717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806
2716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472
2715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666
2714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8019
2713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65
2712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2711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