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27 00:19

그것참

조회 수 8996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것참

"딱하다, 딱해." "신기하다! 정말." "듣던 중 반가운 소리네!" "희한하기도 하네." 등등에 모두 어울리는 오묘한 표현이 바로 '그것참'이다. 그렇다면 이 '그것참'은 한 단어일까, 두 단어일까. '그것 참'이 두 단어라면 각각의 단어는 띄어 써야 하는 게 원칙이므로 '그것 참'이라고 써야 한다. 또 하나의 단어라면 '그것참'과 같이 붙여 써야 한다. 어떻게 쓰는 게 맞을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그것참'은 한 단어로, 붙여 써야 맞다. 흔히 이 표현을 '그것'과 '참'이라는 각각 다른 두 단어로 생각해 띄어 쓰는 경우가 많으나 '그것참'은 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다. 한 단어인지 두 단어인지에 따라 띄어쓰기뿐 아니라 품사(단어를 기능.형태.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도 달라진다. 듣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사물을 가리킬 때 쓰는 '그것'은 지시 대명사이고, 매우 딱하거나 어이가 없을 때 내는 소리인 '참'은 감탄사다. 그러나 이 둘이 만나 하나의 단어가 되어 사정이 매우 딱하거나 어이가 없을 때, 또는 뜻밖에도 일이 잘되었을 때 쓰는 표현인 '그것참'으로 되면 품사는 감탄사가 돼 버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57
2864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63
2863 존맛 風文 2023.06.28 1740
2862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477
2861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82
2860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65
2859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585
2858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401
2857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220
285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500
285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94
2854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97
2853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14
2852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88
285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89
285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674
2849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758
2848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593
2847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453
2846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902
2845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68
284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95
2843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