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25 13:46

냄새, 내음

조회 수 10443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냄새, 내음

남쪽에선/ 과수원의 능금이 익는 냄새/ 서쪽에선 노을이 타는 내음/ …모든 육체는 가고 말아도/ 풍성한 향기의 이름으로 남는/ 상하고 아름다운 것들이여/ 높고 깊은 하늘과 같은 것들이여…. (김현승의 시 '가을의 향기')

 가을비가 내리더니 잎들은 더욱 붉은 기운을 머금고, 제법 서늘해진 공기에서는 가을 냄새가 묻어난다. '가을 냄새' '가을 내음' 어느 것이 더 맛이 날까. 시의 '노을이 타는 내음'처럼 '가을 내음'이 훨씬 더 맛깔스럽다. '내음'은 '바다 내음' '흙 내음' '시골 내음' '고향 내음' '사람 내음' '봄 내음' '꽃 내음' 등과 같이 시적이고 멋스러운 표현으로 두루 쓰이고 있다. 그러나 규정상 '내음'은 경상도 방언으로,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가을 냄새' '바다 냄새' '흙 냄새' '시골 냄새'라고 하기에는 영 내키지 않는다. '냄새'는 물리적이고 화학적인 현상 이상을 나타내지 못한다. 여기에서 규정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발행한다. '나래→날개' '떨구다→떨어뜨리다'도 마찬가지다. 이럴 땐 우리 맞춤법 규정이 '표준어=맞는 말, 비표준어=틀린 말'이라는 이분법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야속하기만 하다. 시에선 몰라도 일반 글에서는 '내음'을 '냄새'로 쓰는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78
2556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38
2555 께 / 게 바람의종 2010.08.27 15883
255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70
2553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85
2552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61
2551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06
2550 사리 바람의종 2010.08.26 10943
2549 은둔, 은신 바람의종 2010.08.25 10484
» 냄새, 내음 바람의종 2010.08.25 10443
2547 거렁뱅이 바람의종 2010.08.25 11154
2546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09
2545 노닐다 바람의종 2010.08.25 11544
2544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584
2543 두껍다, 두텁다 바람의종 2010.08.19 12108
2542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22
2541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322
2540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7
2539 준말들 바람의종 2010.08.19 10624
2538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097
2537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319
2536 엔간하다. 웬만하다. 어지간하다. 어연간하다 바람의종 2010.08.17 15192
2535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