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25 13:46

냄새, 내음

조회 수 10439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냄새, 내음

남쪽에선/ 과수원의 능금이 익는 냄새/ 서쪽에선 노을이 타는 내음/ …모든 육체는 가고 말아도/ 풍성한 향기의 이름으로 남는/ 상하고 아름다운 것들이여/ 높고 깊은 하늘과 같은 것들이여…. (김현승의 시 '가을의 향기')

 가을비가 내리더니 잎들은 더욱 붉은 기운을 머금고, 제법 서늘해진 공기에서는 가을 냄새가 묻어난다. '가을 냄새' '가을 내음' 어느 것이 더 맛이 날까. 시의 '노을이 타는 내음'처럼 '가을 내음'이 훨씬 더 맛깔스럽다. '내음'은 '바다 내음' '흙 내음' '시골 내음' '고향 내음' '사람 내음' '봄 내음' '꽃 내음' 등과 같이 시적이고 멋스러운 표현으로 두루 쓰이고 있다. 그러나 규정상 '내음'은 경상도 방언으로,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가을 냄새' '바다 냄새' '흙 냄새' '시골 냄새'라고 하기에는 영 내키지 않는다. '냄새'는 물리적이고 화학적인 현상 이상을 나타내지 못한다. 여기에서 규정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발행한다. '나래→날개' '떨구다→떨어뜨리다'도 마찬가지다. 이럴 땐 우리 맞춤법 규정이 '표준어=맞는 말, 비표준어=틀린 말'이라는 이분법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야속하기만 하다. 시에선 몰라도 일반 글에서는 '내음'을 '냄새'로 쓰는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57
2710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69
2709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80
2708 은둔, 은신 바람의종 2010.08.25 10479
» 냄새, 내음 바람의종 2010.08.25 10439
2706 거렁뱅이 바람의종 2010.08.25 11149
2705 두껍다, 두텁다 바람의종 2010.08.19 12101
2704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093
2703 아파, 아퍼 바람의종 2010.08.19 15308
2702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298
2701 엔간하다. 웬만하다. 어지간하다. 어연간하다 바람의종 2010.08.17 15177
2700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63
2699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684
2698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599
2697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2
2696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35
2695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346
2694 옴쭉달싹, 옴짝달싹, 꼼짝달싹, 움쭉달싹 바람의종 2010.08.11 20317
2693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698
2692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41
2691 추석 바람의종 2010.08.07 11113
2690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바람의종 2010.08.06 9696
2689 며늘아기, 며늘아가 바람의종 2010.08.06 143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