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25 13:46

냄새, 내음

조회 수 10447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냄새, 내음

남쪽에선/ 과수원의 능금이 익는 냄새/ 서쪽에선 노을이 타는 내음/ …모든 육체는 가고 말아도/ 풍성한 향기의 이름으로 남는/ 상하고 아름다운 것들이여/ 높고 깊은 하늘과 같은 것들이여…. (김현승의 시 '가을의 향기')

 가을비가 내리더니 잎들은 더욱 붉은 기운을 머금고, 제법 서늘해진 공기에서는 가을 냄새가 묻어난다. '가을 냄새' '가을 내음' 어느 것이 더 맛이 날까. 시의 '노을이 타는 내음'처럼 '가을 내음'이 훨씬 더 맛깔스럽다. '내음'은 '바다 내음' '흙 내음' '시골 내음' '고향 내음' '사람 내음' '봄 내음' '꽃 내음' 등과 같이 시적이고 멋스러운 표현으로 두루 쓰이고 있다. 그러나 규정상 '내음'은 경상도 방언으로,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가을 냄새' '바다 냄새' '흙 냄새' '시골 냄새'라고 하기에는 영 내키지 않는다. '냄새'는 물리적이고 화학적인 현상 이상을 나타내지 못한다. 여기에서 규정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발행한다. '나래→날개' '떨구다→떨어뜨리다'도 마찬가지다. 이럴 땐 우리 맞춤법 규정이 '표준어=맞는 말, 비표준어=틀린 말'이라는 이분법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야속하기만 하다. 시에선 몰라도 일반 글에서는 '내음'을 '냄새'로 쓰는 수밖에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76
2732 냄비 / 남비 바람의종 2010.10.14 13815
2731 눈꼬리와 눈초리 바람의종 2010.10.13 12556
2730 나발과 나팔 바람의종 2010.10.13 11394
2729 마는, 만은 바람의종 2010.10.11 12925
2728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26
2727 망년회 바람의종 2010.10.06 11078
2726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25
2725 교환 / 교체 바람의종 2010.10.04 13138
2724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7
2723 학부모 / 학부형 바람의종 2010.09.29 13982
2722 오이소배기 바람의종 2010.09.08 11140
2721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706
2720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32
2719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44
2718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87
2717 주어지다 바람의종 2010.09.04 12381
2716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32
2715 덤탱이, 덤테기, 담타기, 덤터기 바람의종 2010.09.03 15351
2714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23
2713 어르다, 으르다 바람의종 2010.09.01 10597
2712 낙엽 바람의종 2010.08.29 10473
2711 께 / 게 바람의종 2010.08.27 158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